회장 인사말 원장 인사말 KITA 산기연 가치관 KITA 산기연 조직안내 KITA 산기연 HISTORY 연수시설안내 KITA 회원제도 안내 오시는 길
연수신청안내 연수신청확인 수강료 납부안내 증명서 발급안내 연수신청서 연수비 지원제도 회원 증명서 발급 비회원 증명서 발급
기술연수 품질연수 신기술 컨퍼런스 연수 기술사 및 환경영향평가사 특강 특별 기획 세미나 및 심포지움 전문기술 자격과정 2020년 종합 특별 강좌 인문·경영연수 지방교육 해외 우수기업 벤치마킹 연수 4차 산업혁명
기업맞춤형 사내위탁 연수교육 기술연구소 (국책과제사업) 자격증 연수교육 이러닝 연수교육 경영 연수교육 HRD 연수교육 해외연수사업(벤치마킹)/박람회 기업 컨설팅 사업 NCS(국가직무능력표준) 센터 컨퍼런스 서적 및 기술전문 서적
KITA 산기연 NEWS 자주하는 질문 묻고답하기 Q&A 이런 강좌 만들어 주세요 강의실/회의실 대관 행사안내 자료실
[ 국가직무능력의 구조 ]
직무수행능력은 다시 필수직업능력, 선택직업능력 그리고 산업공통직업능력으로 나누어지는데, 필수직업능력은 해당 분야에서 특정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직업능력으로 해당 직업에 진입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직업능력이고, 선택직업능력은 해당 분야에서 기업간 업무범위, 장비 등의 차이점에 대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직업능력으로, 해당 직업에 진입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직업능력은 아니나 기업체의 특성에 따라 갖추어야 하는 직업능력이며, 산업공통직업능력은 해당 분야에서 직업 혹은 직무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능력입니다.코드명 | 능력단위 구분을 위한 코드로, 개발분야 영문 대문자, 여덟자리 식별번호와 한자리영문자 버젼 정보로 구성 (예 : 050102020108) |
---|---|
능력단위명 | 해당분야에서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개별 능력의 명칭 |
능력단위 정의 | 능력단위를 명확히 하고 능력단위를 활용한 수행업무가 무엇이며, 어떠한 목적에서 활용되는가를 제시 |
|
개발영역 | 하위 단위 |
---|---|
의사소통능력 | 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력, 기초외국어능력 |
자원관리능력 | 시간자원관리능력, 예산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
문제해결능력 |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
정보능력 | 컴퓨터 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
조직이해능력 | 국제감각능력, 조직체제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
수리능력 | 기초연산능력, 기초통계능력, 도표분석능력, 도표작성능력 |
자기개발능력 | 자아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경력개발능력 |
대인관계능력 |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
기술능력 |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
직업윤리 |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
[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배경 ]